분류 전체보기

애너테이션이란 프로그램의 소스코드 안에 다른 프로그램을 위한 정보를 미리 약속된 형식으로 포함시킨 것이다. 마치 주석과도 같이 프로그래밍 언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다른 프로그램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프링에서 사용되는 에너테이션은 영향을 미치지만, 우선 스프링이 아닌 기본 자바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표준 애너테이션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애너테이션은 몇 개 존재하지 않는다. 게다가 그들 중 일부는 '메타 애너테이션'으로 애너테이션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애너테이션을 위한 애너테이션이다.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표준 애너테이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애너테이션 설명 @Override 컴파일러에게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하는 것이라고 알린다. @Deprecat..
지정된 자료형을 필요에 따라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해주어야 하는 때가 있습니다. 그럴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형 변환 함수입니다.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형 변환 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설명 TO_CHAR 숫자 또는 날짜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 TO_NUMBER 문자 데이터를 숫자 데이터로 변환 TO_DATE 문자 데이터를 날짜 데이터로 변환 형 변환 함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숫자 데이터와 문자 데이터, 문제 데이터와 날짜 데이터간의 변환이 가능합니다. 문자를 중심으로 숫자 또는 날짜 데이터의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TO_CHAR TO_CHAR 함수는 날짜, 숫자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해 주는 함수입니다. 주로 날짜 데이터에서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많이 사용하며 다음과 같..
우선 함수들을 알아보기 전에 날짜 데이터의 더하기와 빼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연산 설명 날짜 데이터 + 숫자 숫자만큼의 일수를 더한 이후의 날짜 날짜 데이터 - 숫자 숫자만큼의 일수를 뺀 이전의 날짜 날짜 데이터 - 날짜 데이터 두 날짜 데이터 간 일수의 차이 날짜 데이터 + 날짜 데이터 지원하지 않음 SYSDATE 별다른 입력 데이터 없이,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놓인 OS의 현재 날짜와 시간을 보여줍니다.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SELECT SYSDATE AS NOW, SYSDATE - 1 AS YESTERDAY, SYSDATE + 1 AS TOMORROW, FROM DUAL;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NOW YESTERDAY TOMORROW 2022-01-22 오전 04:17:34 ..
이번에는 숫자 함수를 다뤄보겠습니다. 이번에 배울 함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함수 설명 ROUND 지정된 숫자의 특정 위치에서 반올림한 값을 반환 TRUNC 지정된 숫자의 특정 위치에서 버림한 값을 반환 CEIL 지정된 숫자보다 큰 정수 중 가장 작은 정수를 반환 FLOOR 지정된 숫자보다 작은 정수 중 가장 큰 정수를 반환 MOD 지정된 숫자를 나눈 나머지 값을 반환 ROUND ROUND 함수는 특정 숫자를 반올림하되, 반올림할 위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반올림할 위치를 지정하지 않으면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결과가 반환됩니다. ROUND([숫자 (필수)], [반올림 위치(선택)])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SELECT ROUND(1234.5678) AS ROUND, ROUND(1234...
· 🐳 TIL
오늘 공부한 내용 스프링 핵심 원리 고급편 - Thread Local 전까지 공부하기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 단일행 문자 함수 공부하기 모던 자바 인 액션 - 5.5장(리듀싱) 까지 공부 Java의 정석 - HashSet, LinkedHashSet, TreeSet 공부 이것이 우분투 리눅스다 - 실습 환경 구축하고, 우분투 리눅스 설치 파일 다운로드 자바 - Checked Exception과 Unchecked Exception에 대해서 공부 + 이에 따른 트랜잭션의 롤백 공부 💭느낀 점 & 배운 점 reduce는 지금까지 스트림을 사용하면서 단 한번도 사용해 본 적이 없었고, 처음 듣는 개념이었다. 그런데 왜 이름이 reduce일까.. 아직도 잘 모르겠다. 아직 간단한 예제밖에 안 한 것 같았는데도, 처..
이번에 Exception에 대해서 공부를 좀 하다가 지금까지 모르고 쭉 사용했었던 중요한 사실을 알아버렸습니다. (이것도 모르고 무지성으로 사용했었다니..ㅠㅠ 참.. 이러면서 성장하는 거겠죠..) 우선 정말 간단하게 Checked Exception과 Unchecked Exceptio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hecked Exception은 Exception의 하위 예외들 중 RuntimeException을 제외한 모든 예외들을 Checked Exception이라 합니다. Checked Exception은 컴파일 시 예외처리를 필수로 해주어야 하며, 해주지 않는다면 컴파일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Unchecked Exception은 RuntimeException과 이를 상속받은 ..
HashSet HashSet은 S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가장 대표적인 컬렉션이며, Set 인터페이스의 특징대로 HashSet은 중복된 요소를 저장하지 않는다. HashSet은 저장순서를 유지하지 않는다. 생성자 또는 메서드 설명 HashSet() HashSet 객체를 생성한다 HashSet(Collection c) 주어진 컬렉션을 포함하는 HashSet을 생성한다 boolean add(Object o) 객체를 저장한다 boolean addAll(Collection c) 주어진 컬렉션에 조장된 모든 객체들을 추가한다. void clear() 저장된 모든 객체를 삭제한다 boolean contains(Object o) 주어진 객체를 포함하는지 알려준다 boolean containsAll(Collection..
오라클에서는 연산자만으로 다루기 어려운 복잡한 데이터 처리와 다양한 결과를 얻기 위해 많은 함수를 제공한다. 이러한 함수는 이전 포스팅에서 살펴보았던 다른 연산자들과 마찬가지로 WHERE절에서 조회할 행을 선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 SELECT절에서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거나 의미 있는 값을 출력할 때에도 많이 사용한다. 오라클 함수의 종류 오라클 함수는 제작한 주체를 기준으로 오라클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내장 함수(build-in function)와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직접 정의한 사용자 정의 함수(user-defined function)로 나뉜다. 내장 함수 내장 함수는 입력 방식에 따라 데이터 처리에 사용하는 행이 나뉜다. 데이터가 한 행씩 입력되고 입력된 한 행당 결과가 하나씩 나..
말 랑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46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