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회차 | 날짜 | 계획 |
1회차 | 2021/12/27 | 섹션 1,2,3 |
그러나 실제로는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섹션 2의 절반밖에 끝내지 못하였다.
무엇을 했나?
활동내용 - https://ttl-blog.tistory.com/245
[활동내용] 1회차 활동내용
다듬어 정리하지 않고, 공부하면서 작성한 내용입니다. 양해 바랍니다.. Spring Cloud Netflix Eureka Netfilx Eureka는 디스커버리 서비스의 역할을 하는데, 전화번호부 처럼 어떤 서버가 어느 위치에 있는
ttl-blog.tistory.com
요약하자면
디스커버리 서비스의 역할을 하는 Eureka 서버를 등록했다.
해당 서버에 등록되는 샘플 웹 서비스를 등록했다
샘플 서비스 서버로 라우팅 해주는 Spring cloud gateway 서비스를 등록했다.
문제점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1. 너무 많은 화면
먼저 마이크로 서비스를 개발하다보니, 너무 띄울 화면이 많아서 화면 찾는것만 해도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다.
2. 스프링 부트 버전의 차이
두번째로는 강의를 찍을 당시의 스프링부트 버전과 현재 스프링부트의 방식의 차이이다.
강의에서는 Zuul을 사용하여 강의를 진행하였는데, 현재 스프링 부트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사실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었다.
선생님이 github 올려주신 예전 버전 Springboot file을 가져와서 그것을 사용하여 Zuul로 코드를 작성하기
그러나, 현재는 Zuul을 지원하지도 않는데 공부하는 것은 마치 지금 시대에 jsp 공부하는 느낌과도 같았다.
(자바스크립트로 치면 JQuery 공부하는 느낌?)
그래서 나는 그냥 가이드와 여러 블로그를 참고하며 Spring cloud gateway를 사용하여 공부를 진행하고자 했고, 따라서 해당 자료를 찾고 코드를 작성하는 데에서 너무 많은 시간을 소모했다.
3. maven과 gradle의 차이
강의에서는 maven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당연히 빌드 과정과 실행 과정들이 gradle과 달랐고, gradle로 선생님이 하는 행동을 따라하려다 보니 여러 오류가 발생했고, 관련 자료를 찾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을 쏟아부었다. (결국 해결도 못 했다)
그런데 왜 maven을 쓰지 않고 gradle을 썼냐고 묻는다면.... 요즘 대세는 gradle이다..ㅎ
앞으로의 계획
나는 상남자라 gradle을 maven으로 바꿀 생각도 없고, 레거시가 싫다. 그래서 강의에 나온 대로 Zuul을 사용하지도 않을것이다.
당연히 시간은 더 오래 걸리겠지만, 시간이야 더 쏟으면 된다.
모각코가 끝나면 공부를 안 하는것도 아니고, 목표를 조금 수정하여, 모각코가 끝난 이후에도 계속 공부를 진행하려 한다.
그러나 최대한 계획에 지장이 없도록 다음 모각코 활동 전까지 gateway에 대해서 조금 알아와야 할 필요성은 있는 것 같아, 다음 모각코 활동 전까지 조금 공부해 올 생각이다.
'모각코 > 2021 동계 모각코 : 안꿀단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고] 2회차 회고 (0) | 2022.01.03 |
---|---|
[목표] 모각코 2회차 목표 (0) | 2022.01.03 |
[활동내용] 1회차 활동내용 (0) | 2021.12.27 |
[목표] 모각코 1회차 목표 (0) | 2021.12.27 |
[모각코] 2021 동계 모각코 활동계획 (0) | 2021.12.23 |